회원등록 비번분실
주요 메뉴

정홍택의 사랑방 이야기
작성자 Hongtchung
작성일 2013-12-28 10:25
ㆍ추천: 0  ㆍ조회: 5008      
2013년 세모에 인생을 생각하며 시를 읽다

2013년 크리스마스도 예년처럼 그렇게 저렇게 보냈다.
지금은신년 2014년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생각할 차례다.

더 이상 지금까지 살아 온 대로는 살지 말자 결심도 해 보지만 이것도 매년 똑 같은 년례 행사.
작년 이맘 때도 희망과 계흭을 꼭 차게 세웠던 것을 기억한다. 이제는 좀 달라질 때도 되었건만…..

마음 정리 겸 우선 일 년을 조망하는 시(詩)한 수 읽어보자.

일 월은 정말 춥고 적막해,
이월에 만물은 촉촉히 젖고,
삼 월에 봄바람이 살랑이며는
사 월에 세상은 옷 갈아 입네.

새들의 하늘 높은 노래소리에
오 월의 꽃들은 피어납니다.
햇볓이 쨍한 유 월은
한낮을 길게길게 늘려줍니다.

타는듯 뜨거운 칠 월의 변덕
태풍 구름 몰아오고
번개, 하늘을 갈라도
팔 월의 옥수수는 알이 여무네

짙은 색 과일 익는 구 월의 축복
선선한 바람부는 시 월이 와서
세상 만물 채색 옷 갈아 입을 때
하늘의 별들은 쏟아집니다.

으스스 파고드는 십 일월 한기(寒氣)
길어지는 밤의 길이, 깊어가는 나의 시름
정말 추운 겨울바람
살을에는 아, 십 이월.


                                “ 일 년 열 두달”-- 크리스티나 로세티”

이 여류시인은 영국의 농촌에서 자란 듯하다. 고향의 일년을 그림그리 듯 묘사했다. 
이렇듯 2014년 한 해도 빠르게 돌아갈텐데 나는 또 어떻게 살아갈까나.

아래의 시인처럼 살아서야 내년 이맘 때 다시 한 숨 쉬며 후회하겠지?

아침밥 먹고
또 밥 먹는다
문 열고 마루에 나가
숟가락 들고 서서
눈 위에 눈이 오는 눈을 보다가
방에 들어와

밥 먹는다.


                  “눈 오는 집의 하루” – 김용택

그래. 밥 먹고 소화시키고 화장실 가고, 또 밥 먹고 한 잠 자고 또 화장실 가고….
그렇게 2013년 한 해가 지나갔구나. 아니 내 한 평생이 이렇게 지나갔는지도 모르쟎아.
아래의 시 처럼 쇠똥구리도 열심히 살며 보람을 쌓아가는데......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고 가다가 잠시 멈춘다.
지금 내가 거꾸로 서서 뒷발로 굴리고 가는 저것은 쇠똥이 아니고 풀밭이다.
이슬에 젖은 새벽 풀밭 위로 흐린 새 몇 마리 떠갔던가,
그 풀밭 지나 종일을 가면, 저물녘 노을에 물든 이포나루에 닿을까.
거기 묶인 배 풀어타고 밤새도록 흐르면 나 짐 벗은 채, 해 뜨는 바다에 닿을 수 있을까

                                                                           “쇠똥구리의 생각”-- 이건형


쇠똥을 굴리고 가는 쇠똥구리도 삶의 목표를 똑바로 세우고 열심히 밀어가고 있다.
그러나 시인은 쇠똥구리의 동작을 자세히 들여다 보며 아주 큰 것을 발견했다.
쇠똥구리는 쇠똥을 굴려 풀밭을 지나가고 있는게 아니고 풀밭을 굴려 쇠똥을 풀밭에서
벗어나게 하고 있구나.
더 크게 보자. 그 풀밭은 지구의 한 자락이니 쇠똥구리는 차라리 지구를 굴리고 있다고도 볼 수 있겠지.
이 작은 생물이 지구를 굴리겠다고?  

쉬임없이 굴리고 굴려가면 어는 날인가 저물녘 노을에 물든 목적지(이포나루)에 닿게 될 것이라고
믿고 있는 쇠똥구리.  
목적지(해 뜨는 바다)에 도달하는 날, 그 고된 삶의 짐을 벗게 되겠지. 몹시 힘에 겨운 짐일께다.
어느덧 쇠똥구리는 시인 자신이 되어 버렸다.


나도 아주 작은 일이라도 그게 남을 행복하게 하는 일이라면 세상을 변화시키는 작은 몸짓이라
생각하고 실천해보자

시 한 편에 삼만 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국밥이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덮혀 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시집 한 권이 팔리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박리다 싶다가도
맑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 "긍정적인 밥"--함민복


허허, 이 시를 몇 번이고 되 읽다보면 내 마음이 따뜻해 온다.
머리 속에선 고슬고슬 밥상에 올린 하얀 이팝이 그려지고 그 앞에 놓인 국밥에서는 하얀 김이
무럭무럭 올라간다. 각박한 현실(각 진 됫박) 속에 감금되어 있던 맑은 소금이 (정신적으로나마)
현실을 박차고 나가니 푸른 바다가 한 없이 펼쳐져 있다.


이것이 우리 독자들에게 풍성한 바다를 보여주기 위한 시인의 소금같은 마음이 아닐런지.
그래서 시인은 우리에게 이팝같은 풍성한 삶을 주고, 국밥처럼 따뜻이 덥혀주려고
결연히 가난한 인생, 시인의 길을 택한 거로구나.

내년에는 이런 시인들에게 국밥한 그릇 사 주는 심정으로 매 월 시집 한 권은 사 주리라 생각해 본다.
인생은 이런 사람들이 있어서 아름답다고 했겠지.
그래. 이기적으로 살아 온 내 삶을 되돌아보면 부끄러워 진다. 


여기 다른 시인은 어머니의 무심한 말씀에서 깊은 인생의 의미를 찾아내었다.

병원에 갈 채비를 하며
어머니께서
한 소식 던지신다

허리가 아프니까
세상이 다 의자로 보여야
꽃도 열매도, 그게 다
의자에 앉아있는 것이여

주말엔
아버지 산소 좀 다녀와라
그래도 큰애 네가
아버지한테는 좋은 의자 아녔냐

이따가 침 맞고 와서는
참외밭에 지프라기도 깔고
호박에 똬리도 받쳐야겠다
그것들도 식군데 의자를 내줘야지

싸우지 말고 살아라
결혼하고 애 낳고 사는 게 별거냐
그늘 좋고 풍경 좋은 데다가
의자 몇 개 내 놓는 거여

                                                                                                                                                                               --이정록, <의자> 전문—

어머니는 참 마음이 넓기도 하다.
어머니 눈에는 꽃도 열매도 장남인 시인도 참외 호박도 다 한 줄에 꾀인 내 식구들이다.
 내가 아프니 앉을 의자가 필요하듯이 이 식구들도 다 무언가 의지할 의자를 필요로 한단다.
저 세상에 계신 아버지에게 마저도 그 줄을 대이며 아들의 주의를 환기시키신다.

이 어머니는 사는 게 별거냐고 하시며 인생이란 그저 “그늘 좋고 풍경 좋은 데다가 “의자 몇 개 내놓는”
것이라고 한 마디 툭 던지신다. 이 말씀이 무하마드 알리의 일격보다 더 무서운 강 펀취가 되어 나를 때린다.
사는 건 결국 주위 사람들의 의자도 되어주고 지프라기와 똬리가 되어주는 거겠지.

나도 좋은 사람으로 살자고 다짐을 수 없이 해 왔건만 어디 세상이 그렇게 내 마음대로 돌아가나.
오해도 생기고 예상 밖의 어려움도 겪게되어 내 속에서는 남 모르는 스트레스가 하나 둘 나중에는 하늘만큼
쌓여간다. 그러니 가끔가다 대포방귀 뀌듯이 마음껒 풀어보는 시간도 만들어 가며 살아가야겠다.

내 몸 안에서 하늘과 땅이
드디어 서로 통하는 소리
꽉 막힌 구멍이 시원하게 뚫리는 소리
생명의 폭죽이 터지는 소리, 소리


                               <방 귀> 전문


얼마나 크게 얼마나 시원하게 뀌었길래 마지막 행의 “폭죽 터지는 소리 소리> 해가며 끝을 맺었을까.
그래서 어떤 사람은 방귀를 한문자로 꽃다울 , 돌아 올 로 써서 해석하기도 한다.
이렇게 시원하게 해 주는 고마운 방귀이니 잠간만 코를 막아주면 되쟎아.

그래, 나도 내년에는 스트레스 피해가며 좀 마음 편히 살아보자.
우선 오늘같이 음습하고 추운 날씨에는 점심으로 국수를 먹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고 싶다.

늦은 점심으로 밀국수를 삶는다

펄펄 끓는 물속에서
소면은 일직선의 각진 표정을 풀고
척척 늘어져 낭창낭창 살가운 것이
신혼적 아내의 살결 같구나

한결 부드럽고 연해진 몸에
둥그랗게 몸 포개고 있는
결연의 저, 하얀 순결들!

엉키지 않도록 휘휘 젓는다
면발 담긴 멸치국물에 갖은 양념을 넣고
코밑 거뭇해진 아들과 겸상을 한다.


                        “국수”—이재무

갓 10대가 된 아들하고 겸상을 해서  뜨거운 국수를 후후 불어가며 먹는 모습이 정겹다.
하얗고 낭창낭창 길다란 국숫발과 까맣고 뻣뻣하고 짧은 아들의 코 밑 수염의 대비는 웃음을 자아내는 희극이다.
그 연한 국숫발을 먹으며 부인을 육감적으로 생각하니 여긴 결국 네 식구가 국수를 먹는 모습이다. 내게는.
그런데 다시 다시 읽어보면 어어, 이것도 그냥 국수먹는 시만은 아닌 것 같다. 국수 속에 인생이 녹아있네.

내 이야기를 좀 하자면 대학교를 졸업 후 나는 어떤 삶의원칙같을 것들을 가지고 세상으로 나왔다.
이 원칙을 시에 대비해서 <일직선의 각진 표정>이라고 생각해 보았다. 그러니 <펄펄 끓는 물 속에서>란
사회 속 직장 생활을 빗댄 말이고, 그 후의 <척척 늘어져 낭창낭창 살가운 것>이란 세상과 타협하면서 변해버린 내 모습이리라. 그리고 나서 이 시인은 슬쩍 비꼬기도 한다. <신혼적 아내의 살결 같구나>
내, 참, 허허.
이 시인은 <멸치>를 좋아한듯 한데 나는 <조개>를 좋아한다. 

                                                             
술안주로 먹으려고 사온 조개를
수돗물에 담그자
그것들 일제히 입을 다문다

몸 밖은 죽음

제 안의 어둠을 파먹으며
이승의 삶을 잠시 버티는, 그

불에 닿자 퍽 소리를 내며
다 놓아 버리는
온몸을 환히 열어 보이는

악착같이 잡고 있던 것이
生이라는 암흑이었구나


                   환한 죽음—이대흠

군침 도는 술안주 조개의 죽음을 보면서 인생의 의미를 묻고 있는 이대흠이라는 시인.
조개가 죽지 않으려고 몸을 꽉 닫으니 그 속에는 캄캄한 암흑이었다가 생의 집착을 놓아버리니
환한 세상이 열린다는 시인의 희망도 알차다. 나도 내년에 세상의 모든 욕심을 다 버리고 살면
저런 환한 마음이 떠 오를까? 죽음도 무섭지 않을까?

자 자, 골치아픈 생각 좀 작작하고 침실에 가서 한 잠 자자. 척 들어누우니 생각나는 시가 하나 떠 오른다.

나는 바닥이 좋다.
바닥만 보면 자꾸 드러눕고 싶어진다.
바닥난 내 정신의 단면을 들킨 것만 같아 민망하지만
바닥에 누워 책을 보고 있으면
바닥에 누워서 신문을 보고 있으면
나와 바닥이 점점 한 몸을 이루어가는 것 같다.
언젠가 침대를 등에 업고 외출했으면 좋겠다고 말하자
식구들은 내 게으름의 수위가 극에 달했다고 혀를 찼지만
지인은 내 몸에 죽음이 가까이 온 것이 아니냐고 염려했지만
그 어느 날 내가 바닥에 잘 드러누운 덕분에 아이가 만들어졌고
내 몸을 납작하게 깔았을 때 집안에 평화가 오더라.
성수대교가 무너진 것도 삼풍백화점이무너진 것도
알고 보면 모두 바닥이 부실해서 생겨난 일이다.
세상의 저변을 조용히 받치고 가는
바닥의 힘을 온 몸으로 전수받기 위하여
나는 매일 바닥에서 딍군다.


                                  “ 바닥론”--김나영


히히, 재밋다.
시 중간에 <그 어느 날 내가 바닥에 잘 드러누운 덕분에 아이가 만들어졌고 내몸을 납작하게 깔았을 때 집안에 평화가 오더라.> 뭐, 복잡하게 생각할게 없다. 평화란 내가 먼저 바닥에 짝 업드린 그 아량의 덕분이란다.
그런데 또 다른 시인은 밤에 잠을 자다가 감기에 걸렸단다.

나는 밤마다 침대 위에서
아내와 함께 이불을 덮고 잔다
나는 때때로 이불이 귀찮아서
걷어찰 때도 있지만
날씨가 추울 때 아내는
이불을 혼자 끌어다 덮는다
그럴 때 나는 허공을 휘첫다가
붙잡히는 것 아무거나
가령 노자의 도道와 같이
휘저어도 잡히지 않는 어떤 것을
대충 덮고 잔다
그리고 감기에 걸린다

                           이불 (二不)--박남희


이 시의 제목이 심상치 않다.
‘이불’이라면 덮고 자는 ‘이불’일 것이지, 궂이 ‘二不’이라고 토를 단 데는 필시 무슨 하고픈 말이 있으렸다.
‘二不’은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뜻으로 이불 속에서 하나 (나) 그리고 또 하나(아내)가 합해서 하나가 되었다.
그렇게 살다보니 어느 날 셋(자녀), 넷도 될 수 있다는 뜻이 아닐까.

그런데 둘이 하나가 되는 이불 속에서 나는 가끔 걷어 차기도 하고 (그래서 아내가 추웠겠지),
아내는 추우면 이불을 혼자 끌어다 덮는 바람에 남편은 감기에 걸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때는 둘이 합한 하나가 아니고 서로 싸우는 둘이라는 얘기렸다. 그럴 땐 허공을 휘젓다가
대충 잔다고 한다. 그러다가 감기에 걸려 버렸다.


둘이 하나가 되는데 실패한 대가(代價)가 혼자 살면서 자기 이불 덮고 자는 것만도 못하다는 그런 말 아닐까?
여기에 노자의 도가 왜 나오나? 아내와 남편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만물의 근원은 부부관계에서
나오고 그 결과 아이가 나오면 그래도 하나가 되어야지 이게 깨지면 우주의 법칙도 깨진다는 얘긴가 보다.

부부가 사랑할 때와 그 사랑이 식어질 때를 아래의 시인은 밥알을 보면서 그려 내기도 했다.

갓 지어낼 적엔
서로가 서로에게
끈적이던 사랑이더니
평등이더니
찬밥 되어 물에 말리니
서로 흩어져 끈기도 잃고
제 몸만 불리는구나


        “밥 알” --이재무


이 시에서 <찬밥>이 되어 <물에 말리니>라는 다섯 째 행(行)이 부부지간의 DMZ가 되는 분계선이다. 그 위와 그 밑이 처참하도록 달라진다.


여기서 나는 한용운 선사의 글을 인용하며 사랑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 보았다.

나는 선사의 설법을 들었습니다.
“너는 사랑의 쇠사슬의 묶여서 고통을 받지말고 사랑의 줄을 끊어라. 그러면 너의 마음이 즐거우리라”고 선사는 큰 소리로 말하였습니다.

그 선사는 어지간히 어리석습니다.
사랑의 줄에 묶인 것이 아프기는 아프지만 사랑의 줄을 끊으면 죽는 것보다더 더 아픈 줄을 모르는 말입니다.
사랑의 속박은 단단히 얽어 매는 것이 풀어 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해탈은 속박에서 얻는 것입니다.
님이여,
나를 얽은 님의 사랑의 줄이 약할까 봐서 나의 님을 사랑하는 줄을 곱드렸습니다.

                                                                              ‘어느 선사의 설법’—한용운


불교에서의 <대해탈>은 사랑의 속박에서 얻은 것이라는 삶의 역설적이면서도 초월적 진리.
그것은 어쩌면 예수께서 하신 말씀,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한다”는 것과 상통하는 것은 아닐까?

글을 너무 많이 썻나보다. 이제 마무리해야겠다.


이 글 초두에 나는 이렇게 썻다. <이제는 더 이상 여태껒 살아 온 식으로 살지 않기로 결심한다.>
 그런데 여기 김기림이란 시인은 이런 결심의 나를 비웃는 시를 오래 전에 썻다.

월(月)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


하낫 둘
       하낫 둘
일요일로 가는 “엇둘, 소리…….”

자연의 학대에서
너를 놓아라
영사의 여백
영혼의 위생(위생)데이
일요일의 들로
바다로………

첫 연에서 “월, 화, 수, 목, 금, 토”의 각 요일이 한 자씩 한 행을 이루면서 경사지게 배치되었다.
또 둘째 연에서도 “하낫 둘”이 한 칸씩 쳐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이 시인은 삐딱하게 우리의 결심을 비웃고 있다. 
 
월요일에서 시작되는 한 주일의 결심이 토요일까지 이르는 동안 차츰 힘이 빠지는 과정을 그림을 그리듯
나타내려는 의도이다.
또 두 번째“하낫 둘”의 구령이 한 칸 쳐져서 배치된은 두번 째 구령의 소리가 첫 번의 큰 소리에 비해 점점
자신 없어진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래, 지금 내가 내년에는 무엇을 하겠다고 아무리 굳게 맹서를 하더래도 작심삼일(作心三日)
내 년 이맘 때에 가서는 또 다시 이런 참담한 심정이 될 것이 뻔하다고 이 시인은 암시하고 있다.
 
그러니 첫 째로 내가 할 일은 “너를 놓아라”하듯이 나를 자유롭게 방목하는 일이 아닐까.
자연을 좀 더 가까이 하는 것은 내 生의 여백이 되겠지.
천국가는 것만을 목표로 내닫던 내 영혼도 잠간잠간 쉬며 소독도 되어서세상 사람들을 좀 더 사랑하게
되지 않을까.
나를 정죄하고 옥죄게 하는 속박에서 나를 해방하는 내년이 되기를 먼저 기원해야지.

나는 지금 나의 봄을 꿈꾸며 2014년을 내다본다. 일 년내내 피는 나만의 봄을 그려보련다.

봄이 혈관 속에 시내처럼 흘러
돌, 돌, 시내 차가운 언덕에
개나리, 진달래, 노오란 배추꽃,

삼동을 참아온 나는
풀포기처럼 피어난다.

                     “봄”에서—윤동주


독자 여러분의 마음에도 새 봄으로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Happy New Year!
 
작성일 본문내용 조회
2014-08-29 누군가? 자기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이 사람
2013년 2월 5일, 전 세계 개신교 신자들이 깜짝 놀랄 뉴스가 지구촌에 울려 퍼졌다. 개신교 단체 중 규모와 영향력이 가장 큰 국제로잔운동 본부가 향후 20년간 이 단체를 이끌어 갈 리더로 마이클 오 목사를 선임했다는 것이다. “마이클 오 목사가 누구지 Who is Rev.Michael Oh?” 하는 것이 로잔 관계자들을 제외한 대부분 ..
7319
2014-08-18 <독후감> 창문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이 지구에서 나 좀 내려줘, 제발!”마구마구 소리지르고 싶다... 요즘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면. 좋은 일들은 저 밤하늘 보름달 뒤로 숨어버린것 같고, 청천하늘 세계각처에선 무섭고 더러운 사건(事件)들이 쉴새 없이 터지고 있지않은가. 만일에 내가 외계인이라면 지구를 들여다 보며 영화구경하듯 재미가 쏠쏠할테..
28 9615
2014-07-29 작열하는 태양아래서 카뮈의 <이방인>을 읽다
카뮈의 <이방인>은 한 여름, 그것도 땀이 뻘뻘나는 해 아래서 읽어야 제 맛이 난다. 50년 전 처음 이 책을 읽을 때 나는 대학생이었다. 그 시절, 실존주의 철학이 열병처럼 대학가를 휩쓸었고 소설 <에뜨랑제> 즉 <이방인>은 그 중심에 서있었다. 불란서 문화원이 주최하는 동아리에서 혹은 친구들과의대..
1 6760
2014-06-13 <동화> 아무도 살지 않는 호수
옛날 옛날 한 옛날, 아주 깊은 산골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꼬불꼬불 논길을 한참 가다보면 조그만 마을이 나오고 그 뒤에는 높고도 깊은 산들이 첩첩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열 여나문 채의 초가집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두메산골입니다. 마을 뒤로는 나뭇꾼 다니는 길이 산 속으로 꾸..
1 6123
2014-05-21 (시조) 삼우가 (三友歌)
칠십의 길 휘적휘적 석양에 걸어가네혼자가면 외로울 길 반려있어 한걸음 길고개정상 소나무여 그늘만 길리누나그림자 늘린다고 지는 해를 잡을손가소슬바람 땀닦으며 지나온길 돌아보다시야를 가린 것은 구름이냐 눈물이냐길곁에 우물정자 어이해 못보았나쪽박을 내리워서 갈증을 풀고보니육신에는 약수냉수 ..
5984
2014-05-02 자화상 인생
내 나이 73세. 그 중에 근 50년을 카메라를 옆에 두고 살아왔다. 카메라라는 기구는 내 앞의 사물이나 사람을 찍게 만들어져 있어서 원칙적으로는 내가 나를 찍을 수가 없다. 그러나 미술가가 자화상을 그리듯 사진가도 의도적으로 기술을 부려 자신을 찍기도 한다.  나는 내 카메라로 여러 번 자신을 찍었지..
6094
2014-04-16 (시) 젖은 눈으로 목련을 기린다
목련을 보노라면 눈물이 난다. 하늘하늘 가녀린 가지들 엄동설한 견뎌내고 송이송이 피워내니 푸른 하늘 흰 구름 봄의 교향악 눈으로 듣는다.   미안하다 목련아  나 이제까지는 너희들 바라보며 "야, 멋있네!", 카메라 셧터 한 번 누르고 발길을 돌렸었지. 나 이제부터는 ..
5816
2014-03-31 생명 승계의 원리
3월에는 로스엔젤스에 사는 둘째 딸 집에 가서 지내고 왔습니다. 두 살, 다섯 살의 손자 둘이 있는데 할머니 할아버지를 잘 딸아주어서 재미를 톡톡히 보고 왔습니다. 둘째 놈에게는 새 장남감이 거의 없고 형이 쓰던 것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첫째보다 둘째는 주위의 관심을 적게 받고 자라기가 쉽나..
5513
2014-02-26 혁대없이 산 하루
토요일 밤 늦게 귀가하는 바람에 주일 예배시간에 자명종 시계 맞추는 일을 잊고 잠자리에 들었다. 주일 아침에 아내는 성가대 연습을 하러 일찍 나갔고 나는 그만 늦잠을 자고 말았다. 선잠에 눈 부비며 시계를 보니 “아차” 예배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 와이샤쓰 넥타이 양복 양말을 허둥지둥 몸에 걸치고 교..
5149
2014-02-06 종이 신문에 작별을 고하노라
“어제 신문 구독을 끊었어요.”며칠 전 아침식사를 하다가 아내가 한 말이다. 나는 마음 속으로 ‘아, 드디어 올 것이 왔구나.’ 하며 조용히 한숨을 쉬었다. 매일 집으로 배달되는 일간신문을 끊자고 아내는 오래 전부터 이야기 해 왔기 때문이다. 은퇴 후, 우리는 살던 집을 팔아 지금 사는 이 콘도미니움으로 이..
1 5223
2014-01-14 '심심이' 동생은 '삼삼이'
2014년 정월 초 하룻날,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지인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e-mail Card가 내 컴퓨터에 떳다.  e-mail Card 제목: 心心心 내용 : Happy new year 그리고 아래와 같은 사진이 첨부되어 있었다. 이 카드를 보내신 분을 언제 뵈었던가? 얼마 전 식당에서 스치듯 만나뵌 것을 제하면 작히 5년은 넘을성 싶다.&n..
12 5442
2014-01-04 2014년 나의 좌우명 정하기
지난 정월 초 하루(2014년 1월 1일) 미국 NBC TV 아침 프로그램에서는, “올 일 년을 어떻게 보내시겠습니까”라는 토픽을 내걸고 전문가를 초빙해 조언을 구했다.  올 일년은 흘러가는대로 그냥저냥 살지 말고 어떤 자기만의 목적을 정해놓고 매일매일을 맞이하면  매우 보람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그 전..
4932
2013-12-28 2013년 세모에 인생을 생각하며 시를 읽다
2013년 크리스마스도 예년처럼 그렇게 저렇게 보냈다. 지금은신년 2014년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생각할 차례다. 더 이상 지금까지 살아 온 대로는 살지 말자 결심도 해 보지만 이것도 매년 똑 같은 년례 행사. 작년 이맘 때도 희망과 계흭을 꼭 차게 세웠던 것을 기억한다. 이제는 좀 달라질 때도 되었건만…..마음 정리 ..
5008
2013-12-12 (동화) 12월에 하나님께 보내는 편지
 하나님, 안녕하세요?오늘은 학교에서 일어난 재미있는 일을 말씀드리려 해요.아침 시작종이 울리자 선생님께서 교실에 들어오시고 재잘재잘 떠들던 우리들도 모두 제 자 자리에 앉았습니다. 이상하게도 선생님은 교실에 들어 오시면서부터 자꾸 웃으셔요. “자, 이제부터 조금안 있으면 크리스마스가 오지요?”..
4907
2013-11-08 손자를 기다리며
   나는 지금 손자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손자라는 말만 들어도 내 얼굴에 미소가 떠 오름은, 그 해해대는 웃음소리, 아장아장 걸음걸이, 연한 풀잎같은 살의 감촉, 향기로운 젖내음의 기억 때문이리라. 이런 특징들을 안 가진 아이들이 어디 있겠느냐만 그 모든 공통점 위에 ‘내 피붙이’라고 하니 더 ..
1 4792
2013-10-25 까마귀를 검다하는 당신은 색맹
   얼마 전 나는 까마귀 두 마리가 죽음의 위험을 무릅쓰고 친구 까마귀를 구하는 놀라운 광경을 목도했습니다. 가을 어느 주말 오후였습니다. 나는 집사람과 함께 필라델피아 교외 나버스 타운(Narberth Town)을 드라이브하고 있었습니다. 역사를 잘 보존하고 있는 마을이라 빌딩은 높지 않았고 가을을 ..
1 4765
2013-10-18 <악수>의 나라에서 <악수>는 제대로 하고 계십니까 (올바른 악수 법)
  서양 사람들은 악수로 인사를 한다. 모든 만남은 악수로 시작하고 악수로 끝난다. 이들은 수 없이 긴 세월 동안 이 전통을 가꾸어 왔기 때문에 미국이나 유럽은 나라마다 사람마다 별 차이가 없는데 우리 나라 사람들의 악수 모습은 천태만상이다. 그래서 악수에 대한 기본 상식과 올바른 악수법을 소개할까 ..
5714
2013-10-10 한글의 어머니는 세종대왕, 아버지는 ?
2013년 10월 9일은 한글이 제정된지 567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리고 올해다시 법정 공휴일로 재 지정되었다. 23년 만의 희소식이다.  세계에 자랑할 만한 우리 문화재의 첫째가 한글임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그동안 이 한글에 대해서는 수많은 글들이 발표되어 더 이상 말하고 싶지 않다.  그러..
4572
2013-10-04 (시) 깊은 산 속 개울가
  돌돌돌듣는 사람 없어도 저 혼자 노래하며 흐르는 개울물가에 피어난 꽃이 한 송이 저 혼자 빨개지네  돌돌돌 그거 혹시 흐느낌 아닐까개울 밑 자갈들의 조용한 밀담꽃잎 하나 떨어져 저 혼자 흘러간다
4857
2013-09-29 시와 송창식 노래가 곁들인 혼인 주례사
평생 처음으로 주례 부탁을 받았습니다.신랑 아버지로부터 주례 부탁을 받고 나서, 주윗 분들에게 물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은 주례사를 할 수 있지요?” 사람들 이구동성으로 하는 대답. “주례사라는 것은 식장을 나갈 때 다 잊어버리는 거야. 짧을수록 좋아.” 생각해 보니 나도 지금까지 살면서 수 없이 많..
4671
123

Copyright © 2005 G Tech Inc. All rights reserved.
WE DELIVER DIGIT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