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의 초등학교 교육에 대한 일반 상식의 글이 있어서 퍼왔습니다. 미국에 오시는 분들이나 미국에 사시고 계시는 분들도 도움이 될 것 같군요.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는 교사의 주관이 아이들의 평가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시간표나 학교설비 등에서 한국과 다른 점이 많고, 한국의 학부모가 체험한 적이 없는 미국의 초등학교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여기에 소개합니다. 초등학교의 커리큘럼 이나 연간 예정표는 중 ?고교 모두 주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각기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설정합니다. 연간 등교일은 토요일 수업이 없으며 여름방학도 통상 6월 하순에서 9월 초순까지이므로 한국의 240일에 비해 180일 정도로 수업일수가 적습니다. 학기도 한국처럼 분명히 2학기제로 되어 있지 않고, 같은 학구에서도 성적표의 발송 시기가 초등학교에서는 연 2 회이지만 중 ㆍ고교에서는 4회로 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학급의 학생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교외에서는 평균 20명 정도입니다 수업은 1 ∼5학년까지 (학교에 따라 6 학년까지)는 담임이 특별 수업 (체조, 음악, 도공, ESL, 도서지도, 컴퓨터)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담당합니다. 5, 6학년에서는 산수, 이과 등이 전문교사에 의해 지도되는 곳도 있으며, 필수 과목은 산수, 사회, 이과, 국어 , 음악, 체조, 도공입니다. 한국에 없는 특별 교과 및 지도법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외국인을 위한 특별 영어지도이다. 카운셀링 (가이던스) - 심리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경우 학교 상담교사가 담임이나 부모와 협력하여 문제의 해결에 임한다. 친구 사귀는 법등에 관한 그룹 토론 지도도 한다 리소우스 룸 - 보충교육의 필요가 없는 아이들에게 전문교사가 알기 쉽게 지도한다. 리딩 - 읽기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위한 특별 지도이다. 발표 - 이야기하는 법에 문제가 있는 아이를 위 한 교정 지도이다. 쇼우 앤드 텔 저학년에서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나 장난감 등을 집에서 갖고 오게 하여 그것에 대해 모두의 앞에서 설명하게 하고 질문에 응하게 한다. 2학년 이상이 되면 그 날의 뉴스를 발표케 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 짧은 시간 안에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화제를 정리하는 능력 , 사람들 앞에서의 발표력, 사회로 눈을 돌리게 하는 능력 등을 신장시킨다 이 밖에도 컴퓨터 교육 라이브러리 미디어 센터(각종 서적 연구의 방법, 교재의 사용법, 도서관 이용법 등을 배운다) 등이 있다. 학교에 따라서는 외국어 (주로 프랑스어 , 스페인어)를 채택하는 곳도 있다. 낙제와 월반 미국에서는 낙제는 킨더가든부터 있으며 킨더가든을 두 번 되풀이하는 예는 흔히 있다. 그 반대로 학력이 우수한 아이는 학년을 뛰어 넘어 위로 진급하는 경우도 있다. 킨더가든에서 유급하는 예는 같은 학년에 서도 나이가 어린 경우가 많다 (예컨대 유급 일시가 12월 말일의 경우, 10월에서 12월 경에 태어난 아이). 교사가 유급시키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면 그 취지를 문서로 부모에게 전하는데 부모가 수락하지 않으면 강제로 할 수는 없다. 어떤 이유로 유급을 권유받고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을 경우는 교사나 교장과 자세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다. 초등학교의 하루 1) 수업시작과 수업 종례 시간 같은 학군에서도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등교 8시 30분, 수업시작은 8시 45분, 종례시간은 오후 3시이다. 학교까지의 통학은 학군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버스를 이용하거나 도보. 자전거,자동차 등의 방법이 있다. 2) 충성의 맹세 미국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는 교사에 의해 매일 일과에 짜여져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강당 이외는 하지 않는 학급도 있다. 외국인 학생에게는 그것을 요구하지 않는 교사도 있다. 단, 여러가지 기회에 맹세를 할 경우가 많으므로 말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Pledge of Allegiance I pledge allegiance to the fla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o the republic for which it stands, one nation, under God, indivisible with liberty and justice for all. 나는 미합중국의 국기에 대한 충성은 물론 이 국기가 상징하는 하나님의 가호아래 단일국가로서 분리될 수 없으며, 국민 모두에게 자유와 정의를 주는 공화국에 대한 충성도 아울러 맹세한다. 3)시간표 한 시간 수업은 약 45분이다. 단 학교 전체가 같은 시간표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교사의 재량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휴식 시간은 한국처럼 수업과 수업 사이에 5분이나 10분씩 쉬지 않고 단 한 번 20분간 쉰다. 그 시간도 학년에 따라 다르다. 수업과 수업 사이에도 벨은 울리지 않으며 한국에서 수업 전후에 행하는 '기립, 경례' 등의 인사도 없다. 시간표는 교육위원회의 커리큘럼에 따라 강당에서의 집회나 특별수업 이외는 교사가 각 자의 재량으로 정한다 따라서 같은 학년일 지라도 커리큘럼의 진행법이 교사에 따라 전혀 다를 경우도 있다. 시간표는 대개의 경우 매일 교사가 칠판에 써서 알린다. 수업중에 화장실에 가고 싶을 경우는 교사에게 허가를 얻는다 4) 점 심 도시락을 주문할 수 있을 경우, 자택에서 점심을 들 경우, 카페테리아에서 지참한 점심을 먹을 경우 등 신청서에 보호자가 그 취지를 써서 서명한다. 교내에서는 카페테리아 또는 미팅룸에서 먹는다. 점심시간은 한 시간, 단 수용인원 관계로 각 학년마다 시간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먹는 시간은 20분 정도이다. 나머지 시간은 밖에서 논다. 이 시간에 태도가 나쁜 아이가 주의를 받고도 고치지 않으면 학교에서의 점심이 허락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시락은 박스든가 아니면 튼튼한 봉지에 넣어 정확히 이름을 기입해 둔다. 유리그릇은 사용 하지 않는다. 5) 간 식 각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킨더가든과 국민학교 저학년까지는 '스낵타임'이 있어, 간단한 간식을 학교에서 먹을 수도 있다. 6) 숙 제 숙제는 3학년까지는 내주지 않도록 방침을 세우고 있는 학교가 많지만 최종적으로는 교사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한국인의 경우, 미국인 학급친구와 같은 양의 숙제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무리하지 말고 교사와 잘 상의해야 한다. 숙제를 부모가 도와 주면 이해가 빠르다고 판단하여 그 양이 늘어날 경우도 있으므로 아이 능력에 맞추어 하도록 하는 편이 좋다. 수면 부족으로 다음날 학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어린아이에게는 일정한 시간에 반드시 재우라고 교사들은 권한다. 초등학교의 대한 기본 안내 1) 학교 시간대(School Hours) 아이들은 아침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점심 후의 오후 1시 전에는 교실에 들어갈 수 없다 수업시작 종이 울릴 때까지 안뜰이나 현관 앞 등의 지정 장소에서 또는 날씨가 나쁜 날은 1층 복도에서 기다린다. 2) 교과서 (Text book) 학교에서 대여하므로 구입할 필요는 없다. 단, 이것은 학교의 소유물이므로 커버를 씌워 소중히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에다 글씨 넣기나 낙서를 해서는 안된다. 집에는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파손하거나 잃어버렸을 경우는 벌금을 물리기도 한다. 그 밖의 학용품은 교사가 지정하는 것을 각자가 준비한다. 3) 결석(Absence from School) 학교를 쉴 경우는 오전 9시에서 9시 15 분 사이에 보건실에다 결석 사유를 전화로 알린다. 전염병의 경우도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 보건실에서는 전염병으로 해서 감염되었을지도 모르는 다른 아이들의 부모에게도 그 사실을 알린다 4) 조퇴 (Early Dismissal) 긴급시의 조퇴에는 부모가 서명한 문서를 학교 사무소에 제출하든가 부모가 직접 보건실에서 아이를 데려간다. 어떤 경우에도 아이가 혼자서 학교를 떠날 수 없다. 5) 악천후 일의 휴교 (Inclement Weather Information) 악천후로 인한 휴교, 또는 수업시작 시간 조정은 교육위원장이 결정한다. 그 경우 특정한 라디오 방송으로 그 결정이 알려진 다. 각 자모 회장(Class Mother)으로부터 연락이 올 경우도 있다.. 6) 건강 진단(Health Examination) 미국의 대부분의 주 교육국은 모든 학생에게 입학시와 3, 7, 10학년에 진급할 때 건강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10월 1일까지 주치의의 서명이든 진단서의 제출이 없을 경우, 학교 지정의가 검진을 실시한다. 7) 학생조사서의 변경 (Health Examination Information) 다음과 같은 내용에 변경이 있을 경우는 양호교사에게 문서로 그 취지를 빨리 보고 해야 한다. 주소 또는 전화번호 가족구성 근무처의 전화번호 주치의 부모 이외의 긴급 연락처의 전화번호 부모가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그 이유와 누가 아이를 보살피는지 등도 보고해야 한 다. 가족 구성의 변경이 학생의 심리면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될 경우는 학교직원, 양호교사, 상담교사 또는 교장에게 그 상황을 보고하기 바란다. 학교는 가능한 한 아이의 힘으로 익숙해지도록 애쓴다. 8) 장기 결석 경우의 숙제 (Homework for Prolonged illness) 교사는 통상 결석 때문에 학업이 뒤진 부분에 대해서는 아이가 출석한 시점에서 뒤진 부분을 만회하도록 지도한다. 결석이 3일 이상 계속될 경우는 오전 중에 학교에 그 이유와 내용을 연락하면 오후 3시 15분 에 정리하여 숙제를 입수할 수 있다. 9) 성적표와 개인면담 (Report and Conference) 킨더가든 및 1,2학년의 아이들 부모에게는 1년에 두 번, 3 ,4, 5학년에게는 한 번의 정기적인 개인 면담이 있다. 성적은 연 3회의 보고서로 부모에게 통지해 준다. 이러한 정기면담과는 관계 없이 교사와의 대화를 희망할 경우 학교에 연락하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10) 자전거 통학(Bicycle Regulations) 학교에서는 안전을 기하여 3학년 이하의 아이들에게는 자전거 통학을 허가하지 않는다. 3학년 이상으로 자전거 통학을 희망하는 자는 PTA주최에 의한 강습회를 받고 그 테스트에 합격해야 한다. 모든 아이 들에게 헬멧의 착용을 장려하고 있다. 11) 스쿨버스(Bus Information) 학교에서 1.5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은 지구의 재정으로 운영되는 무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구에서 정해 놓은 거리보다 가까이 사는 아이들에게도 이용할 수 있는 유료 버스가 있다. 스쿨버스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차체에도 그 취지가 분명히 써 있다. 버스가 머물러 아 이들이 내리고 탈 동안에는 상하 차선의 모든 차량은 정지하고 있어야 한다. 12) 스쿨 퍼포먼스(School Performance) 아이들은 연주, 연극 등 학교에서의 여러가지 공연(performance)에 참가한다. 대부분 학교시간대에 실시된다 관람할 때 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기 바란다. ① 밤 연주에 참가하는 아이들은 어른과 함께 동행해야 한다. ② 가족은 되도록 이면 같은 줄 좌석에 앉고 아이들은 부모의 감독하에서 행동한다. ③ 연주 중의 사진촬영은 다른 관람자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④ 연주 후 학교 내에서 특정한 어린이의 꽃다발이나 선물 증정은 피한다. 13) 소풍(Trips) 소풍은 교과과정 강화를 위해 계획된다 소풍의 자세한 내용이 결정된 시점에서 아이들은 참가 허가서를 갖고 돌아간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모든 아이들에게 안전띠를 착용케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14) 유실물(Lost and Found) 교내에서의 유실물은 모두 1층의 진열대에 보관되어 있다. 안경이나 액세서리등 작고 깨지기 쉬운 것은 사무실에서 보관한다. 상의 등에는 미리 이름을 분명하게 부착하기 바란다. 15) 전화전언(Telephone Messages) 학교 사무실의 전화는 긴급시 외에 아이들이 시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아이들의 책임감 육성이나 불필요하게 수업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전화의 전언이 없도록 등교 전 아이와 확인해 둔다. 16) 잊고 온 물건 (Item Forgotten at Home) 아이가 집에다 놓고 온 도시락이나 악기 등은 수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학교 사무실에 갖다 놓으면 된다. 17) 학교 방문(Visitors) 학부모나 지구 주민은 언제나 학교를 견학할 수 있다. 단, 그 취지를 사전에 알려야 한다. 18) 그밖의 학교 행사 PTA 미팅 : 1개월에 한 번. 주로 밤에 학교에서 열린다. 임원이 아닌 사람의 참가도 장려하고 있으므로 학교 실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가능한 한 출석하는 편이 좋다. ① 교육위원회 미팅 : 격주 월요일 밤. 학구 내의 모든 문제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② PT 카운실 미팅 : 집회는 격월. 학구내의 학교를 종합한 PTA가 공통된 문제의 대화나 각 전문가를 외부로부터 초빙한다. ③ 어셈블리(assembly) : 학교의 강당에서 열리는 집회 ④ 소풍(field trip) : 미술관, 동물원 등을 학교에서 전세 낸 버스(입장료, 교통비 등은 주로 학생부담)로 학부모가 운전하여 (운전자는 통상 클래스마더) 방문한다. 이 경우는 미리 아이를 통해 학 부모에게 참가허가서를 보내므로 참가 여부 서명을 해서 학교로 되돌려 보낸다. 보호자의 서명이 없으면 아이는 소풍에 참가할 수 없다. ⑤ 생일파티 : 사전에 교사와 연락을 취한 후 당일 컵케이크 등을 맡겨 두면 학급에서 아이의 생일을 축하해 준다. |